-
한-미 협력 시리즈 모아보기
- ① 항공·조선 편: 대한항공 103대 보잉 도입과 조선 협력
- ② 에너지 편: 원자력·LNG 협력과 에너지 안보
- ③ 핵심광물 편: 게르마늄 공급망과 첨단 산업 경쟁
- ④ 관련주 특집: 항공·조선·원자력·LNG·광물 수혜주 총정리
대한항공, 보잉 항공기 103대 도입
대한항공은 미국 보잉과 차세대 항공기 103대 구매 계약(약 362억 달러)을 체결했다.
여기에 GE Aerospace와 엔진 구매·정비 협력(약 137억 달러) MOU도 포함됐다.
이는 대한항공 역사상 최대 규모의 기단 교체 계획이다.
생활 속 의미
- 단기적으로 항공권 가격이 바로 내려가지는 않는다.
- 항공기 인도까지 시차가 있고, 환율과 유가 같은 변수가 더 크다.
- 장기적으로는 연료 효율과 정비 비용 절감 효과가 누적되면서 운임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
- 신형 기재 도입은 신규 노선 개설이나 공급 확대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관련 기업
이번 계약은 대한항공이 직접적 당사자다.
엔진·정비 분야에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같은 정비·부품 기업이 협력 구도 속에서 주목된다.
조선 분야 협력
조선업계에서도 두 가지 협력이 발표됐다.
- HD현대·산업은행 ↔ Cerberus Capital: 조선·해운 공동 투자펀드
- 삼성중공업 ↔ Vigor: 군함 유지보수, 조선소 현대화, 공동 건조 협력
산업적 의미
- LNG 운반선과 군함은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분야다.
- 이번 협력은 한국 조선업이 미국 시장과 연결고리를 강화하는 계기가 된다.
- 방산 협력은 조선소 운영을 넘어 국방 분야로 확장될 가능성이 크다.
관련 기업
HD현대, 삼성중공업 같은 국내 대형 조선사가 중심이다. 방산 분야에서는 한국조선해양, 한화오션 등도 장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다.
왜 중요한가
- 팬데믹 이후 급등한 항공 수요를 장기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에서 한·미 조선 협력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전략적 의미가 있다.
- 항공·조선 협력은 국내 정비, 부품, 인력 수요 확대 등 산업 전반의 파급효과를 낳을 수 있다.
정리
대한항공의 항공기 대규모 도입과 조선업계 협력은 단순한 계약을 넘어 생활과 산업 전반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여행객 입장에서는 장기적 운임 안정과 노선 확장이 기대되고, 산업적으로는 공급망과 방산 협력 강화라는 큰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미 협력 시리즈 4]한-미 협력 관련주 총정리 (2) 2025.08.27 [한-미 협력 시리즈 ③] 게르마늄 공급망 협력, 미래 산업 경쟁의 열쇠가 될까 (0) 2025.08.27 [한-미 협력 시리즈 ②] 원자력·LNG 협력, 에너지 안보와 요금 안정에 어떤 의미가 있을까 (4) 2025.08.27 한미정상회담 - 정상회담 이후, 국내외 반응과 전망 4편 (2) 2025.08.26 한미정상회담 - 경제와 생활, 정상회담의 실제 영향 3편 (1) 2025.08.26 한.미 정상회담 - 안보와 외교, 정상회담이 남긴 쟁점 2편 (2) 2025.08.26 한미 정상회담 - 핵심 의제 총정리 1편 (1) 2025.08.26 관세는 세금이 아니다 2편 – 지금 이 사태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1)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