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28조 원, 내 삶에 어떤 의미가 있을까
2026년 정부 예산은 728조 원. 전년보다 8.1% 늘었습니다. 숫자만 보면 피부에 와닿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예산은 결국 내 생활과 직결된 정책 자금입니다.
왜 예산을 늘렸을까
한국 경제는 지금 세 가지 큰 벽에 부딪혀 있습니다.
- 수출 둔화: 반도체, 자동차 같은 주력 산업 성장세가 약해졌습니다.
- 고령화: 복지 지출은 계속 늘어나는데 세수는 줄어듭니다.
- 저성장: 기존 제조업만으로는 더 이상 예전 같은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정부는 이 문제를 뚫을 해법으로 AI 중심 성장 전략을 꺼냈습니다.
돈은 어디로 가나
AI 반도체, 로봇, 바이오헬스 같은 분야에 연구개발 자금이 집중됩니다. 예를 들어 반도체 연구개발 예산이 늘어나면 삼성이나 하이닉스 같은 대기업만 좋아지는 게 아닙니다.
부품과 소재를 공급하는 중소기업들도 함께 연구비를 받을 기회가 생깁니다. 대학 연구실, 스타트업까지 지원이 이어집니다. 숫자 속에는 누군가의 일자리와 생활이 숨어 있습니다.
생활로 연결되는 변화
예산 확대는 곧바로 생활 속 정책으로 나타납니다.
- 교통: AI 기반 버스 배차 시스템이 전국으로 확대될 수 있습니다. 출근길 대기 시간이 줄어듭니다.
- 교육: 학교에 AI 학습 도우미가 들어옵니다. 학생별 맞춤형 문제 제공이 가능해집니다.
- 복지: 주민센터 대신 AI 챗봇이 간단한 민원을 처리합니다. 기다림이 줄어듭니다.
거대한 예산은 이런 작은 체감 변화를 만들어냅니다.
하지만 그림자도 있다
예산이 커진다는 건 그만큼 재정 부담이 늘어난다는 뜻입니다. 국가 채무 비율은 55%에 가까워질 전망입니다.
또 AI에 지나치게 집중하면 전통 산업이나 농업 같은 분야가 뒷전으로 밀릴 수 있습니다.
AI가 사람의 업무를 대신하는 과정에서 일자리 불안도 커집니다.
정리
728조 원은 추상적인 숫자가 아닙니다.
이 돈은 연구실에서, 버스정류장에서, 교실에서, 주민센터에서 우리 삶을 바꿉니다.
하지만 그 변화가 모두에게 이익이 되려면 균형 있는 정책이 필요합니다.'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지방세제 개편 핵심 요약 (0) 2025.09.03 AI 시대, 한국 경제 어디로 가나- 과제와 리스크 편 (3) 2025.09.02 AI 시대, 한국 경제 어디로 가나 - 생활 변화 편 (1) 2025.09.02 AI 시대, 한국 경제 어디로 가나 - 산업 지원 편 (3) 2025.09.02 2025년 건보료 환급 시작, 대상 확인 방법 정리 (3) 2025.08.28 상생페이백 2025 신청 방법·환급 기준·제외 항목·기준액 확인 총정리 (2) 2025.08.28 민생지원금, 어떤 카드로 받는 게 유리할까? (1) 2025.07.23 민생회복 소비쿠폰(민생지원금) 카드사별 장단점과 사용처 (3) 2025.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