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리즈 목차: 관세전쟁과 동아시아 경제의 미래
서론: 미중 갈등의 틈에서 일본은 어떤 입장을 취하고 있을까?
2025년 4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25% 관세 선언은 중국만을 겨냥한 경제전략처럼 보였지만,
이 조치의 여파는 동아시아 전체에 충격파를 안겼다.
중국과 밀접하게 엮여 있는 일본도 예외는 아니었다.하지만 일본의 반응은 흥미롭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산업은 직접적인 피해를 입는 반면,
일부 첨단 제조 및 소재 산업은 중국 대체 공급자로 부상하며 오히려 수혜를 입고 있기 때문이다.이 글에서는 일본의 대표 산업을 중심으로, 관세전쟁이 일본에 가져온 득과 실을
기업 중심 사례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1. 자동차 산업: 수출 구조 변화로 위기 직면
일본 자동차 산업은 대표적인 수출 중심 산업이다.
특히 도요타, 혼다, 닛산 등 주요 브랜드는 북미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유지해왔다.하지만 트럼프의 관세 발언 이후, 일본산 자동차에 대한 직접적 관세 대상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 내 부품을 조립해 중국에서 생산한 차량이 미국으로 수출되는 경우 관세 가능성 이슈가 발생했다.혼다는 최근 미국에 수출할 차량 일부를 중국 공장에서 생산하는 방식을 태국, 멕시코 공장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검토 중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일본 자동차 기업들이 미중 갈등을 전제로 한 공급망 재조정에 착수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출처: Nikkei Asia, 2025.04.10)
2. 반도체 소재 산업: 중국 대체 공급자로 '반사이익'
한편, 반도체 소재 및 장비 분야에서는 일본 기업들이 오히려 반사이익을 누리고 있다.
미국과 중국 간의 기술 규제 강화로 인해, 미국 기업들이 중국산 장비 및 소재를 배제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 결과, 일본의 도쿄오카공업(Tokyo Ohka Kogyo), 스미토모화학, 신에츠화학 등이
반도체 노광용 포토레지스트, 실리콘 웨이퍼 공급자로 주목받고 있다.특히 도쿄오카공업은 “중국 거래처 일부가 빠져나갔지만,
미국과 대만의 반도체 고객사 신규 수주가 이를 상쇄하고 있다”고 밝혀,
공급 다변화에 따른 실질적 수익 증대를 경험 중이다.이는 일본이 첨단 소재 분야에서 중국을 대체할 수 있는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출처: Asahi Shimbun, 2025.04.08)
3. 관광 및 소비재 분야: 중국 관광객 감소로 ‘직격탄’
한편, 중국과의 외교 긴장, 위안화 환율 불안정, 중국 중산층 소비 위축 등 복합 요인으로
일본 관광업과 소비재 수출 산업은 명백한 타격을 받고 있다.관광청 자료에 따르면,
2025년 3월 중국인 관광객 수는 전년 동월 대비 31% 감소했고,
도쿄와 오사카의 면세점 매출도 15% 이상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일본 의류 브랜드 ‘유니클로’는 중국 내 소비 둔화와 수출 부진을 이유로
일부 상품의 일본 내 재고 비중 확대를 발표했다.
이는 내수 전환을 의미하지만 동시에 중국 시장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졌음을 인정한 조치로 해석된다.
(출처: 일본 관광청 발표자료, NHK 경제뉴스 2025.04.09)
4. 일본 정부의 입장: “중장기적으로는 기회가 될 수 있다”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최근 기자회견에서 “지정학적 리스크는 일본에게도 위기이지만,
글로벌 공급망 안정성과 기술 자립을 추구하는 새로운 기회로 전환해야 한다”고 밝혔다.실제로 일본 정부는 반도체 핵심 소재 산업에 대한 세제 혜택과
동남아시아 생산기지 확보를 위한 ODA 확대 전략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이는 일본이 이번 관세전쟁을 단기적 충격이 아닌 중장기 산업구조 재편의 기회로 삼으려는 전략임을 보여준다.
결론: 일본, 흔들리면서도 전략적으로 대응 중이다
관세전쟁은 일본에게 득과 실을 동시에 안겼다.
일부 산업은 공급망 불안과 수출 차질로 위기에 직면했지만,
첨단 기술 및 소재 산업에서는 새로운 기회를 잡아가고 있다.특히 일본은 이번 사태를 위기를 이용한 산업 포지셔닝 전략으로 삼아,
수출국 다변화, 기술 투자, 글로벌 파트너십 확장을 도모하고 있다.
다음 글 예고
“국정 공백 속 한국 경제, 관세전쟁의 그림자는 얼마나 깊어지는가?”
다음 편에서는 탄핵 정국 속에서 외교적 대응이 늦어진 한국 정부,
그리고 관세 이슈에 직면한 한국 수출기업들의 실태와 대응 전략을 살펴본다.'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세는 세금이 아니다 1편– 트럼프의 관세 정책, 정치 전략으로 다시 읽기 (2) 2025.04.14 제2의 냉전인가? 미국 관세전쟁이 만들어낸 글로벌 경제 블록의 재편 (2) 2025.04.12 한일 경제, 관세전쟁 속에서 주고받는 영향은 무엇인가? (1) 2025.04.12 관세전쟁의 그림자, 국정공백 속 한국 경제는 어떻게 흔들리는가? (1) 2025.04.12 중국 경제, 트럼프의 관세폭탄에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가? (0) 2025.04.11 도널드 트럼프의 관세전쟁 선언 이후, 미국 내에서 실제로 벌어지는 일들 (1) 2025.04.11 도널드 트럼프의 ‘상호관세’ 선언,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은? (3) 2025.04.03 트럼프 대통령,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선언…한국 영향은? (0) 2025.02.11